'마키아벨리'에 해당되는 글 2건
- 2018.10.20
- 2018.09.09
History of Europe in Early Modern Times I
Renaissance, the Rebirth of Humanities
오늘날 정치와 역사를 바라보는 관점이 압도적으로 유럽 출신
백인들의 시각과 사고를 반영하고 있는 것은 다들 아실테죠.
그래서 서유럽 주요 국가의 근세사를 따라가보는 것이 종종
큰 의미가 있답니다. 하여 근세를 열어젖힌 몇 가지 트렌드를
시리즈처럼 훑어보는 시간을 마련해 볼까요.
I. 문예 부흥 Renaissance
르네상스, 재생(부흥), rebirth 이야기에요. 14~17세기 유럽인의
생각과 감정을 열어젖힌 광범위한 수준의 문화예술 운동입니다.
북부 이탈리아 도시 국가인 피렌체 공화국에서 시작하여 인근
베네치아와 제노바로 옮겨갔고 신성 로마 제국, 스페인, 프랑스,
제네바를 거쳐 네덜란드, 영국, 폴란드까지 퍼져 갔다고 합니다.
주로 문학과 회화, 조각, 건축을 중심으로 기독교 유일신 교리의
성상화에 치중했던 중세 성향을 탈출하여 철학적 사고와 예술적
표현의 중심에 인간이란 존재를 대체한 광역 거시적 사조랍니다.
문예를 ‘부흥한다’고 표현하는 이유는 그리스와 로마 시대의 예술
성향을 되살리고 고전으로 돌아간다는 정신을 공유했기 때문이에요.
장장 19세기까지 통일 군주 없이 공화국이나 공국으로 찢어 살아야
했던 북부 이탈리아 사람들로서는 그네들의 아이덴티티를 확인할
수 있는 유일한 창구가 고대 시절 화려했던 문화의 향수거든요.
이탈리아에서 시작한 르네상스가 본래는 이태리어인 rinascimento
라고 불려야 정상이지만 19세기 중반 프랑스 역사가 쥘 미슐레가
불어로 규정하며 대히트를 친 바람에 그렇게 고착해 버렸다죠.
피렌체나 베네치아, 제노바 같은 북부 이탈리아 도시 국가에서
발발한 이유는 말이죠.. 중세 후반에 지중해 해상 무역을 장악한
사람들이 이런 해양 국가의 중추 계급인 상인 집단이었거든요.
이 나라들은 해양 중개 무역으로 성장한 상인들이 사회의 중추를
형성하고 과두 공화정 형태의 정치 체제로 빽과 돈줄과 문화
예술을 좌지우지할 수 있었다는 공통점을 공유한답니다.
이들이 중개한 무역 루트는 보스포루스 해협 너머 소아시아와
중동, 인도, 중국으로 이어지는 유럽의 동방이었는데 보통 이슬람
상단을 통해 향신료, 도자기, 차 등 사치재를 구해 이문을 챙겼어요.
이렇게 넘어오는 과정에서 물자 뿐만 아니라 이슬람과 비잔티움의
제국이 잘 보존해온 (정작 자신들은 오래 전에 잃어버린) 고대 문물이
역수입되어 사람들을 일깨우고 르네상스의 발판을 마련한 것이죠.
문화적 변동이란 것이 이렇게 정치와 경제의 기반이 없으면 생존할
수가 없는지라 15세기 중반 오스만 제국이 발호하며 동방 루트를
막아버리자 어쩔 수 없이 이탈리아 르네상스는 쇠퇴하고 맙니다.
14세기 초를 시점으로 잡는 것이 통설인데 이는 이탈리아 문학
최고의 시인으로 꼽히는 단테 알리기에리의 활동 기간이 대략
1308년 무렵부터 사망하는 1321년까지 이어지기 때문이죠.
단테가 정계에서 축출된 후 망명 생활을 하며 창작한 신곡은
이태리어를 처음으로 문학의 언어로 끌어올린 명작입니다.
중세 유럽인의 내세적 종교관을 엿볼 수 있기도 하죠.
프란체스코 페트라르카는 계관 시인으로 임명되어 국가 대소사를
라틴어 시문으로 남겼고 로마 시대의 역사를 시로 썼으며 고대
문헌을 발굴 연구하여 후대에 영향을 준 인문주의자였습니다.
그와 교류했던 지오반니 보카치오는 열흘이란 속뜻을 지닌
이야기식 서사시 데카메론을 통해 당대 유럽인의 다채로운
생활상을 묘사하고 사회상을 우회적으로 비꼬기도 했죠. 서사
구조는 영국의 제프리 초서가 캔터베리 이야기로 계승해요.
이탈리아 문학의 태동은 다른 지역에도 영향을 미쳐요.
네덜란드의 데시데리우스 에라스무스가 우신예찬을 썼고
스페인에서 미겔 데 세르반테스가 돈키호테를 창작하죠.
레오나르도 다 빈치,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 라파엘로 산치오 등
16세기 초를 화려하게 수놓은 예술가들이야 더 말할 나위 있나요.
이들은 교황령을 비롯하여 유력 가문의 후원을 받아 오늘날까지
인류적 자산으로 분류되는 초월적 걸작들을 창작해냈습니다.
한두 번 곁눈질 만으로도 거장의 자취가 느껴지실 겁니다.
다 빈치의 모나 리자라든가…
미켈란젤로의 천지창조라든가…
라파엘로의 아테네 학당이라든가…
르네상스는 순수 문예작의 범위를 초월해서 영향을 미치기도
했는데요. 이전 시대 거장의 스타일과 작풍이 한창 정치적 격변을
겪던 북부 공화국 인민의 의식 성장을 반영하기도 했지요.
대표적인 사람이 군주론과 로마사 논고를 저작하고 폭풍처럼
일생을 살다 간 니콜로 마키아벨리이며, 그가 남긴 충격적 사상은
이후 고전적 현실주의로 분류되는 정치학 연구에도 영향을 줍니다.
그와 동시대에 영국에서는 헨리 8세 시대를 뜨겁게 살았던
토머스 모어가 유토피아를 통해 민중을 배격하는 위정자의
위선을 한껏 비판하기도 했습니다. (모어의 실제 삶도 참
극적이었죠. 헨리 8세에게 직언하다가 참수되었답니다.)
영국의 르네상스는 엘리자베스 1세와 제임스 1세가 집권한 17세기
초 윌리엄 셰익스피어에 이르러 뒤늦게 꽃을 피웠다고 봅니다.
현대 영문학의 효시인 인물이라 할 수 있겠죠.
현대 대중 문화에서도 르네상스는 아주 자주 언급됩니다. 재작년에
개봉한 다빈치 코드 3부작 중 최졸작인 인페르노에서는 시종일관
산드로 보티첼리가 15세기 말에 그린 단테 신곡의 삽화가 삽입되요.
물론 레오나르도를 상업적으로 폭발시킨 건 댄 브라운과 론 하워드죠.
재미는 있는데.. 이 얘기 아직도 믿는 분들 계시려나요.
또한 데이빗 핀처가 모건 프리먼 및 브래드 피트와 작업하여 1995년에
내놓은 히트작 세븐에서는 단테의 신곡에 언급되는 인류의 일곱 가지
죄악이 직접적인 내러티브의 소재로 언급되죠. (미성년자는 주의)
세르반테스는 작품과 함께 영원히 사실 겁니다.
심지어는 뮤지컬로도 살아남을 거에요.
아랜 72년 토니상 공연 중...
"공감을 눌러 주시면 큰 힘을 얻습니다"
유럽 근세사 훑어보기 III : 종교 개혁 (0) | 2018.10.31 |
---|---|
유럽 근세사 훑어보기 II : 대항해 시대 (0) | 2018.10.25 |
유럽 국제관계 및 근현대 외교사의 주요 사건들 (0) | 2018.10.15 |
정치학과에서는 뭘 배우나.. 서브 장르는 무엇무엇 (0) | 2018.10.10 |
보스턴 글로브: 정치 공작의 희생양이었던 음악가 (0) | 2018.10.05 |
Ideological Histo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예전에 현대의 정치 이데올로기를 일반적인 흐름으로
짚은 적이 있었는데, 오늘은 약간 포커스를 좁혀 볼까요.
국제 정치, 흔히 IR, 국제 관계학이라고 부르는
분야의 이데올로기 역사는 정치학 본류의 그것과는
약간 궤적을 달리 하여 발전해왔습니다.
원래 정치학의 연구 분야를 셋으로 구분하거든요.
정치 사상 및 이론, 비교 정치학, 국제 정치학…
이 중 국제 정치학에 해당하는 분야를 가리키죠.
요즘은 국제 관계학이라고 더 일반화되어 있는 듯해요.
international relations를 번역한 거니 이쪽이 더 맞남..
국제 관계의 이데올로기에 대한 연구는 20세기부터
본격적으로 학자들이 제기하기 시작하였는데요.
여러 국가의 이전 투구가 부딪히는 현상의 원리를 찾아내려는
이른바 ‘현실에 대한 설명력’이란 논리로 이런 이즘이니 저런
이즘이니 하는 것들이 발전하기 시작한 겁니다.
멀리 보자면 군주론의 마키아벨리나 리바이어던의 홉스가
사실 서양 정치학사에서 처음으로 현실주의를 들고 나온
사람들이니 이 분들을 원류로 봐야 하겠지만요.
교과서마다 분류 기준도 다르고 설명 체계도 다르지만
여기서는 깔끔하게 네 가지 사조로 정리하겠습니다.
자유주의, 현실주의, 구조주의, 구성주의입니다.
자유주의는 이상주의의 다른 표현이에요. 국가나 정치 현상에
도덕적 이상이나 지향점이 있어서 이를 실현하기 위해 정치가
흘러간다는 생각인데요.
멀리 보자면 동양의 공자나 맹자 같은 유가의 사상이
이런 이상주의의 근간을 형성한 적이 있습니다.
자유주의 국제 정치의 사례로 가장 유명한 것이 흔히 우리가
국사 시간에 3.1운동 배우며 접한 바 있던 민족 자결주의라는
것인데 1910년대 미국 대통령 우드로 윌슨이 주창했어요.
윌슨이 이런 주장을 하며 국제 연맹이란 것이 창설되잖아요.
국제 연맹이 제대로 돌아갔다면 2차 대전이 일어나지 않았을
거란 점을 보면 자유주의 사조의 한계가 여기서 드러납니다.
이상적 도덕을 넘어서서 각 나라의 국익을 건드리는 안보
상황이 닥칠 경우 공권력 체계를 갖추지 못한 국제 기구는
유명 무실해질 수밖에 없다는 거죠.
그래서 현대의 자유주의 국제 관계학 이론가들은
(국제 연맹의 사례를 반면교사로 삼아) 다자 안보 체계를
주요한 관심 테마로 논리를 전개하는 편입니다.
이상주의를 비판하며 한스 모겐소가 주창한 사조가
현실주의입니다. Politics among Nations라는
저서로 유명하신 분인데요.
국가 간에 국익이라는 명분으로 힘의 균형을 이룰 수밖에
없는 구체적 현실을 인정하고 세력 균형에 전력투구해야
한다는 논리 체계를 마련하신 분이에요.
2차 대전이 끝난 후의 냉전이라는 구도를 완성한
사상가로 흔히 불리곤 하죠. NATO와 같은 군사 동맹을
통해 세력 구도의 균형을 옹호한 논리입니다.
성선설 같은 자유주의에 비해 성악설 같은 색깔이 보이죠.
국익을 위해서 국가는 국방력을 총동원하여 실력 행사에
나설 수밖에 없다는 호전적 논리 체계가 여기서 나왔어요.
냉전 시대에는 금과옥조처럼 받들던 사상이기는 하지만
70년대가 지나 오일 쇼크처럼 냉전 양극화 구도를 뒤흔드는
현상이 튀어나오고 유럽 경제 공동체처럼 국익 논리를
반박하는 움직임이 나오면서 퇴색하기 시작합니다.
이후 케네스 월츠 같은 학자를 통해 신현실주의라는
새로운 개념으로 발전하기도 합니다. 1979년 발표한
국제 정치 이론이란 저서로 이를 완성하였다 하죠.
구조주의는 마르크스 사회주의에서 영향을 받은 체계입니다.
물론 교과서에 따라 사회주의와 구조주의를 구분하는 설명도
있죠. 급진주의라고 따로 표시하는 책도 있습니다.
서구 선진국의 자본가 계급이 개발 도상국이나 제3세계의
물적 자본을 착취하는 형태로 국가 관계가 발전할 수밖에
없다는 논리 구조를 취하고 있어요.
안토니오 그람시 같은 이론가가 이 계통의 대표적인 분이고
남미 제3세계 정치 구도에서 맹위를 떨친 종속 이론이
실제로 국제 관계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게 됩니다.
그러나 남미의 일부 현상을 제외하고 냉전 구도 자체조차
설명이 안 되는 한계를 보이기도 하는지라 약간은 철 지난
생각으로 치부되기도 하는 듯합니다, 요즘엔요.
구성주의는 80~90년대 이후 새롭게 등장한 비교적 신박한
사상 체계인데요. 사회 구성주의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social constructivism…
인간의 선악 본성이나 국가의 힘 같은 논리가 아니라
사회적 맥락이나 행위자의 정체성이 국제 관계 현상의
본질에 더 가깝다는 생각입니다.
때로는 감성이나 정서, 심리 같은 주관적 요소를 깊게
관찰하기 때문에 인종, 종교, 성별 같은 현대적 아젠다를
성찰하는 데에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특히 이슬람 근본주의로 무장한 국제 테러가 뚜렷하게
아젠다로 부상한 21세기에 들어 더욱 설명력이 배가하고
있는 사상 체계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알렉산더 웬트라는 58년생 정치학자가 이 분야에서
가장 유명한 이론가이고요. 전술한 케네스 월츠의 저서를
정면으로 반박하며 99년에 국제 정치의 사회 이론이란
책을 통해 사회 구성주의를 화려하게 등장시켰답니다.
2018년 현재의 국제 관계학에서는 이런 사상 체계를 혼용하며
정치 현상의 설명력을 제고하기 위해 애쓰는 형국입니다.
"공감을 눌러 주시면 큰 힘을 얻습니다"
워싱턴 포스트: 나도 트럼프 정권의 레지스탕스이다 (0) | 2018.09.17 |
---|---|
블룸버그 통신: 주류 경제학이 지금까지 실패해온 것 (0) | 2018.09.14 |
통일은 대박: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경제 추정액 9천 조 (0) | 2018.09.01 |
경제학자 신창민: 통일 경제 모형 시뮬레이션 (0) | 2018.08.25 |
비용과 편익의 정의, 경제학과 경영학의 차이 (0) | 2018.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