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티치티뱅뱅'에 해당되는 글 1건
- 2020.10.25
Back to 1640s of Britains..
What Happened and Whodunit
영국의 근대사가 현대에 와서 영국인이 아닌
사람들에게도 중요할지 모를 이유가 있어요.
우리가 현재 국적과 민족과 인종을 초월하여
보편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민주 정치라는 것…
democracy.. 짜잔… 알죠?
인류 역사상 이걸 처음 시작한 곳이
바로 근대의 영국이거덩요.
더 정확하게 시공간을 좁혀 보면 17세기 잉글랜드와
그 주변의 왕국들인 스코틀랜드, 아일랜드였어요.
유감이지만 17세기에 잉글랜드에서 벌어진 일을
단번에 설명할 순 없어요. 아무리 단순화시켜도 최소한
전반기와 후반기, 둘 정도 시대 구분을 해줘야 합니다.
17세기 전반기 사건을 흔히 청교도 혁명이라고 많이들
들어보셨을 테고, 17세기 후반기 사건을 명예 혁명으로
알고 계실 테죠. 왠만큼 교육받은 현대 한국인들은요.
일단은 그러한데 말이죠..
출신 성분상 스코틀랜드 칼뱅파 장로교 계층을 중심으로
청교도식 종교관을 가지고 상업 및 무역으로 세를 구축한
신사 계급의 의회파 반란 세력이 잉글랜드 국왕권에
대항하여 대략 1640년대부터 50, 60년대까지
벌인 일련의 전쟁과 정쟁 및 국가적 소요 사태…
자, 이렇게 복잡한 사건을 간명하고 단출하게 설명하기가
쉽지 않아요. 본 블로거에게 그런 재주가 없는 거겠죠.
먼저 역사서에 어지럽게 난립하는 용어부터 정리해야 해요.
이 책 저 책에 여러 개념이 난립하는데 각각 가리키는
내용이 다 조금씩 다르거든요.
청교도 혁명, Puritan Revolution..은
본 블로거가 판단할 땐 국내에 가장 널리 정착한 개념이에요.
비교적 연식이 되는 사람들이 이 용어로 많이 알고 있죠.
1640년대 사태의 주동 세력이 가진 종교관이 칼뱅파 장로교임을
직접적으로 드러내는 개념이고 사태의 기저에 중세 종교 전쟁이
깔려 있음을 명시하는 용어인데요.
이 표현이 다소 불명확할지 모르다는 비판이 죽 있었어요.
왜냐..? 사람들이 혁명 하면 떠오르는 그림이란 게, 보통
프랑스 1789년 혁명이나 1830년 혁명처럼, 노도처럼 들고
일어난 민중의 저항, 펄럭이는 깃발… 뭐 이런 거쟎아요.
근데 본 사태는 피치자 하층민보다는 중소 지주 계급인 신사,
젠트리나 요먼이란 제3계급이 중심이고 그 방식도 거리의 폭동이
아니라 엄연히 정규군을 편성하여 전쟁을 벌이는 식이었거든요.
그래서 다소간 본질을 호도할 소지가 있는 표현인 거에요.
영국 혁명이란 말도 프랑스나 미국과 묶어서 편의상 쓰긴 해요.
일관적 표현으로 분류하기 쉬우니까요. 하지만 사실 영국도
아니고 혁명도 아닌 거 아니냐는 비판이 있어 애매한 말이죠.
이런 이유로 오늘날 현대 영미권 역사서에서는 대체적으로
영국 내전, English Civil War..란 용어를 더 광범위하게
선호하는 편이에요. 빠르게 정착하고 있는 말인데요.
(아, 물론 영어 표현이 정착해가고 있다는 뜻)
사태의 전개가 그레이트 브리튼 섬과 아일랜드 섬 전역에서
광범위하게 전쟁의 형태로 벌어졌기에 그래도 가장 사실에
근접한 현대적 표현이라 할 수 있어요.
하지만 번역어가 문제인데 엄밀히 말해서 이 당시 국체가
영국은 아니거든요. 우리가 아는 그 영국이란 나라는 각각
1707년과 1800년의 연합법으로 탄생한 거니까요.
17세기는 아직 각기 독립적인 세 왕국,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아일랜드가 동군 연합.. 같은 군주 아래 느슨하게 결합한, 곧
연합 왕국으로서의 국체를 형성하고 있던 거죠.
그런 의미에서 번역어로는 잉글랜드 내전이란 말이 널리
쓰이기 시작하고 있어요. 치고 박고 싸운 주무대가
잉글랜드이기도 했고..
하지만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의 역할이 전혀 없었냐 하면
결코 그게 아니기 때문에, 좀 아는 사람들은 더 정확한 표현을
선호하죠. 이른바 삼왕국 전쟁 또는 삼왕국 내전, Wars of the
Three Kingdoms 또는 British Civil Wars..
그런데 이 용어도 삼국 시대나 삼국지처럼 받아들일 소지가
다분히 있어 현대 한국에서 널리 용인되는 건 아니에요.
당연한 소리지만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가
위촉오처럼 서로 독립적으로 싸운 것이 아니거든요.
주교 전쟁, Bishops' Wars..란 개념도 있어요. 이건 이 모든
사태의 촉매 및 시발점 역할을 한 1639년과 1640년의 전쟁
일부를 가리켜요. 하지만 사실 이 전쟁 내용이 큰 줄기에서
그닥 중요하다고는 볼 수가 없기도 해요.
삼왕국 전쟁이란 개념으로 가면 주교 전쟁 등 전체를 포괄할
수 있지만 보통 많이 쓰이는 잉글랜드 내전의 개념에선 큰
줄거리만 보려는 경향이 생겨 잉글랜드 외 기타 다른 지역을
기반으로 한 사건과 전쟁을 제외하고 논할 때도 종종 있어요.
왜 복잡한 개념에 대한 정리부터 시작하는지 이제야 알겠죠?
한국 근대사에서 1880~90년대에 달 단위로 연달아 발생하는
복잡한 사건들을 한국인 입장에서도 차근차근 복기하기
어려운 것과 유사하다고나 할까요.
어쨌든 현대 사가들의 일반적 경향을 좇아 English Civil War,
잉글랜드 내전으로 1640년대 역사의 표제어를 정리해 볼께요.
잉글랜드 내전의 본질과 내용과 성격을 이해하기 위해
사태의 능동적 주체가 누구인가부터 따져보면 어떨까요.
세 가지 키워드로 접근해갈 수 있어요.
청교도, 젠트리, 스코틀랜드…
청교도란 제네바에서 태동한 칼뱅교가 영국으로 넘어와 얻은
별칭입니다. 영어 명칭으로 따지자면 또 구분이 되고요. 잉글랜드
내의 칼뱅파는 puritan, 스코틀랜드에선 covenanter로 불렀어요.
칼뱅파 장로교가 영국 땅으로 넘어와서는 주로 스코틀랜드
왕국 내에 터전을 잡아 세력을 넓혔으나 잉글랜드 안에서도
무시할 수 없는 지분을 차지해 나갔습니다. 16~17세기였죠.
청교도가 영국 사회 전체에서 중심 세력이 된 데엔 복합적인
원인이 작용합니다. 무엇보다도 상업과 무역 면에서 시장을
장악하고 16~17세기 영국 경제력의 근간을 형성했어요.
칼뱅파 교리의 예정설에서 근면과 검소를 중시하고 현실에
충실한 삶을 살면 선천적 계급과 상관없이 스스로를 구원할
수 있다는 급진적 논리가 청교도 경제 활동의 사회적 확장을
지원 사격한 겁니다. 루터교보다 정치적으로 진보적이었죠.
상업 활동으로 부를 축적한 상인 집단, 여기에 중앙 왕실과 다소
거리가 있는 중하급 지방 귀족이나 중소 지주층 역시 이런 생각에
동참할 여지가 충분했어요. 16세기 후반기부터 이런 사람들이
똘똘 뭉쳐 영국 정가의 기층을 장악해 들어간 거지요.
이른바 젠트리나 요먼이라고 부르는 제3계급, 또는 신사 계급이
출현한 거에요. 이들이 갑자기 어떻게 나타났는가 하는 배경은
멀리 백년 전쟁과 장미 전쟁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도 있어요.
백 년을 훨씬 넘긴 두 전쟁으로 대권에 도전할 만한 귀족 가문의
씨가 말라버리는 통에 중앙 정치를 담당할 인적 자원이 소멸해
버리니 이 빈 자리를 중간 계층의 사람들이 비집고 들어갈
밖에 달리 도리가 없었던 거에요.
그리고 헨리 7세나 헨리 8세 등 튜더 왕조의 번영을 개창한
국왕들 역시 이 상황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어서 제3계급을
적당히 육성하고 달래가며 정치를 이끌 수밖에 없었어요.
이렇게 상층부 인재의 씨가 말라 중간 계층이 급부상하는
사회적 계기는 희한하게도 중세사에서 영국에서밖에 달리
관찰이 되지 않아요. 의회 정치의 씨앗을 잉태할 수밖에
없었던 영국이란 나라의 숙명이 시작된 셈인 거죠.
(그리고 다른 나라 역사와의 차별성이
시작된 지점도 정확하게 바로 여기…)
제3계급의 생각과 삶은 평민과 크게 다르지 않았기에
왕권이란 거대한 기득권에 맞설 수 있도록 훌륭한
계급 대립 구도가 시의적절하게 형성된 거에요.
당시 평민들도 다 청교도였겠지 지레짐작하는 분들도 많은데
의외로 그렇지 않았어요. 생활에 쫓겨 변화에 둔감한 관계로
어쩔 수 없이 보수화 성향을 보일 수밖에 없었을 평민들은
아직도 상당수가 가톨릭이나 어정쩡한 국교회 상태였죠.
(가톨릭과 영국 국교회는 교리와 의례, 직제 등에서 크게
차이가 없었으니까요. 어차피 헨리 8세가 이혼하려고
인위적으로 종교 개혁 추세를 이용한 거니까…)
즉 왕실 — 제3계급 — 평민의 삼분된 계급 구조는 어느 나라든
봉건적 신분제 국가라면 다 있는 현상인데 중세와 근대를 거치며
이 구조가 어떻게 근대화하는가의 핵심은 결국 중간 계급이 어느
쪽에 어떤 철학을 가지고 붙느냐로 역사의 향방이 달린 거거든요.
조선 후기에도 서얼과 실학자 같은 실용적 사상을 가진 중간
계급이 분명히 대두했어요. 그런데 조선이 실패한 원인은
상층부 기득권이 와해하지 않고 임란 후 신분제가 동요하며
되려 양반이 늘어나는 기형적 구조가 양산된 때문이지요.
성공한 민중 혁명을 이룬 프랑스와 러시아는 어떠했나요.
지식인과 군인이 피치자의 편에서 배경 철학을 제공하고
정치 구도 재편에 아이디어를 제공하지 않았습니까.
시대 정신과 비전을 지닌 중간 계급의 역할이 없으면
근대 시민 혁명이 절대로 불가능하다는 추론…
바로 이 시점에서 얻을 수 있는 거죠.
이런 전차로 조선 후기와 구한말에 아래로부터 혁명의 싹이
움트지 못한 역사를 맞은 거에요. 문제는 위로부터라도
개혁과 혁신이 성공했으면 좋았을 텐데 그마저도…ㅜ
구한말 기득권의 외교 실력이 너무 형편없었죠.
제3계급의 역할은 이 정도로 중요하답니다. 흔히 상식 선에서
이 시기 영국 정치가의 대표자로 올리버 크롬웰을 상정하실 텐데
크롬웰이 이 표본 집단 특성에 딱 들어맞는 사람이쟎아요.
신기하죠?
자, 다음엔 더욱 골치아픈 남의 나라 역사 이야기로
우리 함께 들어가 보아요.
돌아가신 분인데 어린이 영화 치티치티 뱅뱅으로 유명했던
켄 휴즈 감독이라고 있었어요. 이 분이 1970년에 크롬웰이란
작품을 선보이며 올리버 크롬웰 역에 ‘덤블도어’ 리처드 해리스
옹을 캐스팅했죠. 작품의 흥행은 신통치 않았지만 해리스의
사자후 연기는 정말 후덜덜하군요. 아래에서 맛만 보시지요.
"공감을 눌러 주시면 큰 힘을 얻습니다"
권리 청원과 의회 정치 초창기, 튜더에서 스튜어트까지 (0) | 2020.09.25 |
---|---|
칼뱅 사상이 자리잡기까지… 오늘날 왜 칼뱅인가 (0) | 2020.08.25 |
공부가 제일 재밌었어요, 종교 개혁가 장 칼뱅의 삶 (0) | 2020.07.25 |
영국식 입헌 의회 정치의 뿌리, 마그나 카르타 (0) | 2020.06.25 |
한 흙수저 예술가가 혁명으로 세상을 바꾼 이야기 (0) | 2020.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