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벨트'에 해당되는 글 1건
- 2018.05.28
Simon Kuznets and National Accounts
국민 계정이라는 개념에 이르러 경제학사는 급기야
고전학파에서 케인스 경제학이 갈라져 나오는 순간을 맞습니다.
국민 계정은 엄청 종류가 다양하지만
여기서는 국내 총생산 한 가지로 단순화하겠어요.
여러 계정의 차이점에 대해선 나중에 기회 있을 때…
쿠즈네츠와 국내 총생산
국민 경제 전체의 지표를 객관화한 데이터를 통해
측정해야 한다는 의견이 고전파 내에서도 들불처럼 일어났고
대공황과 케인스 혁명을 기점으로 새로운 개념이 탄생합니다.
우리가 잘 아는 국민 소득, NI이죠. national income.
사이먼 쿠즈네츠가 처음으로 도입했고 공식은 아래와 같아요.
GDP; Y = C + I + G + NX
GDP 국내 총생산. 경제학에서는 보통 Y로 표현해요.
C, consumption 소비 지출. 곧 가계의 경제를 가리키죠.
I, investment 투자 지출. 곧 기업의 경제를 가리켜요.
G, government 정부 지출. 곧 정부 부문의 경제.
NX, net export 순수출 = (수출) — (수입).
수출하고 수입받아 남은 것. 마이너스일 수도.
연습 문제 같은 데서 가정이나 계산의 편의를 위해
종종 순수출은 생략하기도 합니다.
이 정도는 외워도 좋을 듯해요.
Y가 C와 I와 G로 주로 이루어진다는 점이 포인트에요.
쿠즈네츠는 소련에서 살다가 미국으로 망명하신 분인데요.
통계 데이터 연구에 큰 영향을 받아 이런 업적을 남겼습니다.
진정한 거시 경제학이 케인스가 아닌 쿠즈네츠로부터
시작했다는 주장이 있을 정도죠. 이해가 가죠?
(그럼 케인스는? 그는 혁명가니까…ㅎ)
국민 경제 삼면 등가의 법칙
삼면 등가의 법칙이란 것도 - 일본에만? - 있는데
생산, 지출, 분배 세 사이드에서 국민 소득을 바라보는 개념이고
각 사이드의 국민 소득 값 총액이 바로 GDP입니다.
생산의 NI, 지출의 NI, 분배의 NI 세 값은 서로 같답니다.
보통 정부에서 거시 경제 통계를 낼 때는
주로 납세 데이터를 기준으로 집산하면 편한데요.
생산의 NI란 제조업과 서비스업 기타 산업의
부가 가치를 총합산하면 되니까 부가 가치세 신고액을
기준으로 계산할 수 있을 겁니다.
분배의 NI는 임금, 이윤, 감가상각비 등으로 이루어지고
(근로)소득세나 법인세를 합산하면 접근할 수 있을 거에요.
가장 중요한 측면은 역시 지출의 NI이죠.
Y가 C와 I와 G와 NX로 구성되고 이 각 요소에 영향을 미치는
경제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 거시 경제의 관건이 되겠어요.
수출입과 소비를 결정하는 요인
C와 I와 G와 NX 중에서 G는 정부 지출인데
보통 단순화한 경제 분석에서는 상수로 놓고 제외하곤 합니다.
C와 I와 NX를 중심으로 주로 분석하죠. 소비, 투자, 수출입.
무엇이 한 나라의 수출과 수입에 영향을 미치느냐.
보통 세 가지 꼽아요. 상대국의 GDP(즉 교역량),
자국과 상대국의 물가, 자국과 상대국 사이 환율. (덤으로 기축 통화까지)
다음 무엇이 가계의 소비 지출에 영향을 미치느냐.
케인스 이후 대두된 중요한 요인은 보통 물가와 금리입니다.
그 외에 재산과 미래 소득을 보기도 하고요.
물가가 오르면 가처분 소득이 줄어드니 지출이 줄어들고
물가가 내리면 가처분 소득이 늘어나니 지출이 늘어나겠죠.
금리가 오르면 저축이 늘어나니 지출이 줄어들고
금리가 내리면 저축이 줄어드니 지출이 늘겠죠.
그런데 물가는 그렇다 쳐요.
금리가 내리면 저축이 줄어드는 거 맞아요?
은행 이자율 내렸다고 일반 소비자가 돈을 펑펑 쓴다고?
약간 이상하죠. 현대에 와서 이자율과 소비의 상관성은
크게 지지를 받지 못함이 통설인 것 같습니다.
투자 그리고 앞으로의 한반도 경제
금리가 내려가서 투자가 늘어난다, 그건 맞을 수도 있어요. (어쩌면)
금리는 투자 자산의 할인율에 직접 영향을 준다 볼 수 있으니까요.
그래서 투자는 금리의 영향을 받긴 받는다… 이긴 할텐데
지금의 경제에 별로 들어맞지는 않는 것 같죠?
초이노믹스가 끝모르고 금리를 깎았다 하여
재벌의 사내 유보 자금이 공공에 풀렸냐고요.
주택 대출만 고삐 풀려 가계 부채가 산처럼 쌓였겠죠. 이상하죠?
기업의 투자 유인이 과연 금리나 할인률일까에 대해선
케인스 본인도 의구심을 품었고 이후 프리드먼도 동의했죠.
(물론 의미는 많이 다르겠습니다만.)
케인스는 유동성 함정 때문에 금리가 곧 투자로 이어지지 않는다 했고
프리드먼은 금리가 아니라 통화량을 직접 통제해야 한다고 했고요.
케인스는 일찍이 기업가의 동물적 감각을 논했던 분입니다.
그게 뭔지는 이제 와서 별 중요치 않은 것 같고 속뜻만 알면 되는데
결국 유망한 투자처나 거시적 성장 기회를 보는 자본가의 전망 아닐까요.
도약할 수 있는 성장의 기회…
(한반도 대운하 이런 거 말고-.-)
남북 신경제 지도, H 벨트.. 뭐 이런 거. 괜찮겠죠?
인터넷 뒤지면 H 벨트 얘기가 많이 나올 겁니다.
미리미리 보세요.
역사상 최초로 임금 주도 성장론이
데이터로 실증되는 그 현장을
곧 라이브로 목격하게 될지도…
"공감을 눌러 주시면 큰 힘을 얻습니다"
왜 경제학을 알아야 하냐고? : 장하준 짤막 강의 전문 (0) | 2018.06.03 |
---|---|
롱다리 에드워드 : 잉글랜드 국왕 에드워드 1세 (0) | 2018.05.31 |
불황과 공황을 접한 경제학자들의 자세 (0) | 2018.05.27 |
정상 회담 사태, 새로운 전환점? (0) | 2018.05.25 |
문정인 특보 애틀랜틱 인터뷰 전문 (0) | 2018.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