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수통일'에 해당되는 글 1건
- 2018.08.01
Weird Framing Over When and How Much:
Until Two Koreas Become One Again
독일과 한국의 통일 이야기를 간단히 해보죠.
문재인 정부의 외교 통일 정책에 프레임을 덧씌우는
세력의 주요한 논점이 몇 가지 있어요.
지금 행보의 속도가 지나치게 급하다, 속도전 와중에
급격한 헤게모니 붕괴로 난민이 유입하고 갑작스런
통일이 오면 그 모든 비용을 한국이 부담해야 한다…
대략 이렇게 요약되는 것 같죠?
이들 주장의 주요한 논거는 독일 통일의 사례입니다.
그럴 수밖에요. 냉전 체제를 딛고 통일한 사례는
독일이 유일하니까요.
독일이 급하게 통일한 것은 사실이에요.
베를린 장벽이 갑작스럽게 무너져 버렸거든요.
장관의 실언과 이탈리아 기자의 콤보로 하룻밤 만에
베를린 장벽이 무너진 스토리는 아시죠?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3174846
그나마 착실하게 통합이 추진 중이던 와중에 국경선이
갑작스럽게 무너지니 자연스럽게 흡수 통일의 단계로
넘어갔어요. (좋았어, 자연스러웠어..)
하지만 급격한 변화를 반영하다 보니 몇 가지 정책에
급진적 실수를 할 수밖에 없었고, 이후에 정설로 굳은
경제 침체의 원인은 이런 데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대표적인 정책 실수가 통화 교환 비율을 고정 환율로
못박아버린 일이에요. 서독 화폐와 동독 화폐 교환
비율을 1대 1로 고정해 버렸다죠.
https://qz.com/442497/lessons-from-the-25th-anniversary-of-germanys-own-rocky-fiscal-unification/
이게 왜 문제가 되는지는 쉽게 아시겠죠. 시장의 자연스런
가격 결정이 아니라 인위적으로 교환 비율을 정한 후 실제
까보니 동독 경제 수준이 당초 예상에 못 미친 거에요.
서독이 동독의 국영 기업을 정리하기 위해 별도 국책
기관을 설립한 후 공공 매각에 들어갔는데 불하받은 서독
기업체가 손실을 떠안아야 하는 구조가 만들어졌거든요.
정책의 실수로 발생한 사회적 손실의 증대가 거시 경제엔
물가 및 조세 인상, 비용 증가 등의 비용으로 돌아옵니다.
구 서독계 국민들이 상당 부분을 감내야 했죠.
공식적 통계로 통일 프로세스를 완성하는데 정부가
투입한 예산이 2조 달러, 가계나 기업 등 민간이
떠안은 부담액이 3조 달러였어요.
독일 통일 비용은 보통 이렇게 5조 불로 추산합니다.
기존 프레임이 떠드는 액수가 여기서 나온 거고요.
남북한의 통일 비용은 어떤가요.
90년 당시 GDP 서너 배 차이가 나던 동서독에게
5천조 원이 들었는데, 시간 차 무시하고 GDP 차로
단순 계산해본다면…
한국 정부의 한 해 예산은 4천억 달러, 400조에
거시 경제 GDP는 한 해 1400조 원으로 잡습니다.
(참고로 현대 독일의 GDP가 3천 조..)
문제는 대외 의존적이지 않고 개방 경제가 아닌
북한의 외적 규모는 공식적으로 알려지지 않다는 건데요.
남한 GDP의 60~70분의 1로 대략 잡아 20조 원
웃도는 규모로 추산하는 경우도 있기는 하고..
북한이 핵 실험 쇼 하며 팔아치우는 무기 수출로
한 해 10억 불 수입을 벌어들인다 하고 군사 경제와
비슷한 규모로 민간 경제가 따로 돈다고 가정하면…
(선군 정치의 사회주의 경제 특성이 그렇습니다.)
대략 2조 원 정도 계산이 나오는데.. 아무튼
남북한 GDP 차이로 하면 70배 이상은 잡아야 하겠죠.
어쨌든 동서독 경우에 비해 단순 계산으로도 20배는
넘겠고 시차에 따른 물가를 반영하면 더 늘어날테니
머리 아픈 숫자가 나올 겁니다. 5조불의 20배 이상..
그런데, 참으로 반갑게도 이보다 숫자가 적게 나오는
방식이 있다죠. 북미 회담 즈음하여 세계 전문가들이
언론에서 종종 거론하는 숫자인데요.
바로 북한의 경제 현대화 비용이라는 숫자입니다.
얼마냐고요. 10조 불이랍니다. 동서독의 단 두 배.
70배가 넘어가는 남북한 경제 차이에 비하면
참 싸게 먹히는 일이 아닐 수 없네요.
단, 10조가 곧 남북 통일 비용이라고 속단하면 곤란해요.
이건 일종의 balancing 예산입니다. 너무 벌어진 남북한
균형을 맞춰 한반도 경제권을 균질화하는 비용인 거죠.
(또한 사회주의 경제를 자본주의 속성으로
형질 변환시키는 비용이기도 하겠죠.)
또한 이 10조불이 몽땅 한국에 부담으로 온다고
가정하면 안 되요. 젊은 계층에 퍼진 요상한 통일
비용 논리는 시작부터 사람 진빼는 프레임입니다.
트럼프 대통령 입에서 그런 말이 나왔죠. 한중일
3개국이 함께 투자하고 함께 동아시아 경제를
이끄는 모양새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합니다.
동아시아 경제 대국이라고는 눈씻고 찾아봐도
이들 세 나라 뿐인데 현실적으로 누가 나서겠어요.
또한 여기서 10조불 추산을 하나의 예로 들었을 뿐이고
이와는 다른 방식으로 추산한 숫자도 얼마든지 있어요.
정세현 장관님 2013년 저서 2부 2장에 보면 통일
비용 계산에 대한 요약 설명이 아주 잘 나오죠.
2007년 노무현 정부 말기에 국회 예결위 제출용으로
중앙대 경제학자 신창민 교수님이 통일 비용 시뮬레이션을
실시하고 보고했었답니다. 얼마 나왔을 것 같아요?
이 때 계산이 불과 1조 불이 나왔답니다.
1조 불. 위 10조 불과 비교하면 10분의 1이죠?
어떤 방식의 시뮬레이션인지 따라 숫자는 달라요. 어쨌든.
세금 인상이 걱정되나요. 정부가 일방적으로 퍼주는
방식이라면 당연히 세수가 늘어나야죠. 사실 지금까지
역사에서 남북 교류가 일부 이런 식이기도 했어요.
하지만 SOC 건설 경기에 목말라 있는 한중일 인프라
기업들의 민간 투자를 유인하는 방향이라면 훨씬 더
자연스러운 연착륙이 가능하지 않을까요.
북한의 사회 인프라는 손볼 곳이 한둘이 아닙니다.
단적으로 철도를 보세요. 당장 남북의 궤도 체계가 달라
전면 보수 전에 유라시아 철도 여행은 요원하답니다.
이런 작업을 자연스럽게 하나 하나 실현하는 일이
베를린 장벽 무너지듯이 깜짝 터지겠습니까. 그리고
그렇게 갑자기 해서 일이 제대로 되겠습니까.
통일 속도, 통일 비용 운운하는 프레임 논리의
이면에는 프로세스 중단을 바라는 농밀한 의도가
도사리고 있음을 알았으면 해요.
전부터 본 블로거 혼자 주장하는 건데
적어도 한 세대 넘게 시간이 필요할 겁니다.
그러니 호들갑 떨지들 말자고요.
"공감을 눌러 주시면 큰 힘을 얻습니다"
남북 정상 회담 직전 NBC의 통일 경제 전망 (0) | 2018.08.12 |
---|---|
파이낸셜 타임즈: 북한 경제 개발의 미래 분석 (0) | 2018.08.05 |
교과서에 나오는 다양한 수요 곡선을 살펴 봅시다 (0) | 2018.07.30 |
북한 경제의 투자 전망에 대한 홍콩 언론 보도 (0) | 2018.07.27 |
수요 주도 성장론의 두 학파 (0) | 2018.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