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앤로빈슨'에 해당되는 글 3건
- 2018.09.14
- 2018.07.25
- 2018.06.03
경제학 연구 방법에 빈틈이 있었음을… 왜 인정하지 못하나
주류 경제학의 이상한 틈새나 오류 부스러기라도 보이면
화들짝 놀라 이상한 쉴드를 치려고 개떼처럼 달려드는
것이 한국의 주류 언론과 학계가 보여온 반응이었습니다.
본 블로거, 대단한 일을 하는 것은 아니지만
한국에서만 일어나는 이런 이상한 현상을 조금이라도
바꿔 보고자 블로깅을 하고 있고요.
이번에는 블룸버그 통신을 통해서 공개된 바 있는
어느 경제 전문가의 강연 내용입니다.
이 강연을 하신 분은 금융 기업 간부 출신으로 현재는
전문 컬럼니스트로 기고하시는 모양입니다.
전문 번역을 공개하고요.
저작권 문제시 자진 삭제합니다.
Why Innovation Tends to
Bypass Mainstream Economics
혁신은 왜 항상 주류 경제학을 비껴가는가
The discipline is divorced from real-world relevance
and has lost credibility.
현실 세계의 상관성과 결별하여 신뢰를 잃은 학문의 비애
Mohamed A. El-Erian
블룸버그 통신 컬럼니스트이며 알리안츠 상임 고문이자 그 계열사인 핌코의 전 대표이사
2018년 4월 27일
(본 기사는 인베스트먼트 뉴스 주최로 뉴욕에서 열린 "혁신 정상 회의"에서 원 저자가 "혁신 아이콘 대상"을 수상한 후 소감 연설문을 차용하여 게재합니다.)
주류 경제학이 최근 들어 잘 해내고 있지 못하며 사회에 엄청난 손실을 끼친 주요 동향의 예견에 실패해 왔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런 실패가 훨씬 더 일반적인 질문으로 귀결할 수밖에 없다. 어떤 분야의 활동은 어째서 혁신의 수혜를 입는데 주욱 실패한 것인가?
경제학이란 본래 가계와 기업, 정부의 경제 행태를 분석하며 사회 복지를 증진할 기회를 찾고 예측하는데 목표를 두게 마련이다. 이런 학문적 경향은 국내외를 막론하고 벌어지는 집단적 상호 작용이 얼마나 복잡한가 하는 것 뿐만 아니라 불가피하게 치러야 하는 대가의 범주에 대해서도 연구한다. 그런데 문제는 이렇게 연구한 광대한 범주의 관점과 예측이 정작 현장에서 충분히 개발한 진보상과 적정하게 부합해오지 못했다는 데에 있다.
경제학 분야는 가끔 “지우개 학문"이라고 조롱 당하기도 한다. (신랄하게 예를 들어볼까. 경제학자에게 당신이 필요한 것이 무엇이라고 얘기해 보라. 그것만 쏙 빼고 하는 방법을 알려 줄 걸.) 또한 내부에서 실망한 관계자들조차 현 경제학의 실태를 "고위 사제들"이 장악하고 있다며 매일매일의 실생활이나 새로운 기회나 현장의 문제를 철저하게 외면하는 행태를 개탄해 마지 않는 형국이다.
설상가상으로 주류 경제학의 허울좋은 명성은 지난 10년간 큰 사고를 쳐 버렸다. 무수히 많은 경제학자들이 2008년 경제 위기 예측에 실패하여 수 년 간 경기 침체라는 선물을 세계 경제에 안겨 버렸다. 위기 이후 상황 예측에 실패한 것은 덤이고 말이다.
그들 대부분은 위기 국면이 경기 순환의 일시적 충격에 불과하다며 멋진 V자를 그리며 조만간 반등에 성공하리라는 치명적 실언을 내뱉었다. 주류 경제학자들은 평균 곡선에 과도한 통계적 집착을 가진 환자들처럼 보인다. 재무 자산 배치가 심각하게 왜곡되어 성장에 치명타를 입었다는 점은 인정하면서도 경제 활동이 다시 강력하게 번쩍 살아날 것이라고 예측한 것이다.
V자는 커녕 선진국 경기 곡선이 그간 L자 곡선으로 "새로운 정규 분포"를 그리며 축축 쳐지고 있고 침체 일로의 성장 기간이 연장되고 있음은 이미 경험을 통해 증명되고 있다.
이미 경기 침체의 지표 양상은 총생산 감소와 가계 복지 손실, 불안정성의 확대, 소득과 부와 기회 균등에서의 불평등도 심화 등 곳곳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이런 경제 실패가 분노의 정치를 촉발하여 소위 전문가라고 불리는 기관 체제 전반에 관한 극도의 불신이 팽배해지는 상황이다.
결국 이 모든 현상이 경제학 자체의 신뢰에 대한 회의로 다가올 것은 불을 보는 뻔한 일이다. 마침 본인 주변의 많은 경제학도들도 자신들이 교육 받은 주류 경제학이 실생활과의 상관 관계를 저버린지 오래라고 불평한다. 각급 경제 연구소 재원에 씨가 마를 일은 이제 시간 문제일 뿐이다.
하지만 모든 실패의 원인이 경제학이 가진 연구의 근본적 한계를 무시했다거나 뭔가 획기적인 아이디어가 고갈되었기 때문으로 치부할 일은 결코 아니다.
다음은 주류 경제학의 예측과 통찰의 힘이 잠식 당한 원인을 몇 가지로 고찰해본 것이다.
- 경제학의 모형은 많은 경우 "과학화"라는 명분 하에 변수를 과도하게 단순화한 가정에 매달리는데, 이 단순화 과정에서 생략해 버린 변수들이 실생활에서는 오히려 각종 행동과 작용에 더 결정적일지 모른다는 것이다.
- 재무 연계성 하에서 실행 비용이 얼마나 들지 충분히 고려도 하지 않고 쏟아내는 이론으로 인해 정책 예산의 체계가 불건전할 때 얼마나 경제가 망가질 수 있는가 간과하는 결과를 낳게 된다.
- 많은 경우 경제학 이론은 행동 과학이 제시해온 여러 통찰력 깊은 관점을 마지 못해 채택하는 경향이 있으며 여러 학문을 연결한 학제간 통섭 연구를 시도할 때도 너무 주저하는 성향을 보인다.
- 불확실성이라는 큰 변수를 너무 단순화한 나머지 불확실성에 의한 경제 작용의 변화를 놓치고 만다.
- 모형의 균형을 이루는 조건이나 통계량의 평균치 회귀에 과도하게 집착하다 보면 시류가 새로운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구조적으로 변화가 발생하는 등 중요한 특이점을 놓치고 지나갈 수 있다.
이렇게 많은 결점들은 앞으로의 혁신 과제 뿐 아니라 혁신의 방법에까지 영향을 미칠 기술 변화의 시대를 맞아 더욱 두드러질 것이며 이는 인공 지능, 빅 데이터, 머신 러닝, 모바일 등 분야에서 급속하게 드러날 것이라고 본다.
참으로 역설적이지만 경제학의 이런 결점을 두드러지게 부각시킬 다른 분야의 지적인 성과에 폐쇄적인 것도 아니었다. 지금까지 행태 경제학 뿐만 아니라 시장 지표, 자본 급정거, 티핑 포인트, 게임 이론, 정치 기제 등등에 대하여 눈부신 학술적 성과가 있지 않았던가.
희한하게도 그러한 획기적 학술 실적들이 주류 경제학의 핵심을 관통하여 영향을 줄 수 없었다는 것이다. 대부분 경제학자들이 손쉽게 쓰는 학술 도구는 — 즉 그들이 학생들에게 직접 가르쳐 전수하는 연구 방법들은 — 참 이상하지만 한쪽에 치우치거나 어떤 때는 방향을 잘못 가리키는 쪽으로만 발전하는 결과를 낳고 말았다.
경제학의 현실 설명력을 제고할 해결책이란 곧 연구하는 사람의 더 개방적인 마인드를 구축하는 것에 직결하며, 이는 의식 또는 무의식 속에 잠재한 학술적 편견을 양지로 끄집어내 해체와 재구성의 장을 마련한다는 것을 뜻한다. 결국 "고위 사제들"이 꽁꽁 숨겨놓은 폐쇄성을 세계 경제와 금융 시장의 현실 속으로 과감하게 노출하는 작업을 말하는 셈이다.
이 해결책은 또한 제도권 내의 프레임을 현대화하는 것을 뜻하기도 한다. 학제간 학술 연구를 할 수 있는 창구는 너무 소수의 사람들에게만 열려 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당혹스럽게도 고등 경제 현상을 연구하는 기관들은 자신들의 커리큘럼을 현실에 맞게 합리적으로 구성할 능력조차 결여되어 있음이 드러나고 있다.
이런 문제의 해법은 아주 기초적인 경제 개념으로 돌아가 도출해야 한다. 발견과 혁신의 차이점 말이다.
발견이란 새롭고 기발한 이론이나 상품이나 접근 방법을 만들어내는 것을 말한다. 혁신이란 기존 이론의 운용 모형이나 접근 마인드에 변화를 적용하는 것을 뜻한다.
지금까지 주류 경제학은 혁신이 아니라 발견에만 집착해왔다. 경제학이 새로운 것을 발견해야만 한다는 강박에 사로잡히니 편견이나, 맹점, 관성(뭔가 새로운 것을 해야 한다는 생각은 드는데 결국 똑같은 짓으로 끝나 버리는 일)이 범벅이 되어 결과로 치닫는 것이다. 지금의 경제학이 가진 취약점이 뭔가 발견해내야 한다는 필요성에 있다기보다 약점 자체를 받아들여 적응하는데 있다는 사실이, 실로 엄청나게 많은 경우에서 발견되는 것이다. 이런 마인드는 호기심과 개방성을 요하고, 이견에 경청하여 실험을 주저하지 않는 자세를 요구한다. 솔직한 토론을 거쳐 안전 지대를 구축하고 실패로부터 배우려는 자세인 셈이다.
이토록 기초적이고 — 또한 해법이 가능한 — 문제를 끄집어내 환하게 드러내는데 주류 경제학은 계속 실패해왔다. 발견과 혁신 사이에서 갈팡질팡하는 사이 개인, 기업, 정부, 사회의 복지를 증진할 기회는 너무 많이 사라져 버린 것이다.
"공감을 눌러 주시면 큰 힘을 얻습니다"
1940년대의 초창기 경제 성장 이론, 해로드 도마 모형 (0) | 2018.09.21 |
---|---|
워싱턴 포스트: 나도 트럼프 정권의 레지스탕스이다 (0) | 2018.09.17 |
국제 관계학의 주요한 이데올로기 흐름 (0) | 2018.09.09 |
통일은 대박: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경제 추정액 9천 조 (0) | 2018.09.01 |
경제학자 신창민: 통일 경제 모형 시뮬레이션 (0) | 2018.08.25 |
Wage-Led Growth: Theoretical Bases
소득 주도 성장론에 한계가 왔다고요.
정말 그러한가 따져 볼까요.
이론적인 배경 몇 가지 먼저…
성장론이란 것이 기본적으로는 케인스가 시작한
수요 주도 성장 이론, 즉 유효 수요 창출 가정에서
출발하였음을 인식했으면 해요.
거시 경제학 강의에서 초반에 배우는
AD-AS 모델, 총수요-총공급 모형을 떠올려
보면 편할 것 같은데요.
케인스는 수요 증가가 공급을 늘릴 수 있다, 즉 총수요가
총공급을 이끈다는 생각을 펼쳤으며 이는 수요가 공급을
따라간다는 신고전파와 정반대 지점에 있었어요.
따라서 유효 수요를 창출하는 것이 대공황으로 허덕이던
미국 경제를 구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주장한 것…
다들 기억하실 거에요.
케인스의 이 생각은 (테네시 댐 말고) 2차 대전 발발로
전쟁 물자가 급격하게 증가하며 입증된 역사가 있는데요.
그렇다고 해서 케인지언들의 일반적인 아이디어가
반드시 옳은 항구적 진리임이 증명되었다고 오해하긴
아직 일러요. 아직 많은 경제학자들의 생각이 그래요.
케인스 이후에 영국의 칼도어, 폴란드의 칼레츠키,
네덜란드의 페어도른 같은 학자들이 계승하였고요.
최근 성장론의 연구 학파는 뚜렷하게 둘로 나뉘어요.
이윤 주도 성장론과 임금 주도 성장론입니다.
양자는 케인지언의 분파로 볼 수 있겠네요.
https://urpe.wordpress.com/2016/04/13/a-very-short-explanation-of-profit-versus-wage-led-growth/
이윤 주도 성장의 이론은 놀랍지만 조앤 로빈슨에게서
나왔어요. 산업 조직론의 윤리를 탐구했던 분이니 그럴 수도
있겠네요. 이윤률이 투자를 진작한다고 했고 오랜 통설이었죠.
소득 주도 성장론의 법칙은 처음 니콜러스 칼도어가
제시한 바 있어요. 주로 이미 산업화한 국가 경제에서 공업
부문 성장률이 총생산과 생산성을 진작한다는 이론이었죠.
https://en.wikipedia.org/wiki/Kaldor%27s_growth_laws
이 분들까지는 그래도 돌아가셨고 구시대의 경제학이니 뭐니
할 수 있겠는데, 한창 활동하고 있는 현존 경제학자들 중에
이런 실증 연구를 감행한 분들이 있어요.
그리니치 대학의 Özlem Onaran 교수나 킹스턴
대학의 Engelbert Stockhammer 교수, 오타와 대학의
Marc Lavoie 교수 같은 분들이 그들이에요.
UN 산하에 국제 노동 기구, ILO가 있는데 여기서 위촉한
연구가 이런 분들의 보고서로 지난 2013년에 나온 바 있죠.
국내 언론에서 언급한 ILO 보고서가 바로 이거에요. 첨부..!
임금이 올라 총수요를 끌어 올릴 수 있는가.
경제 자체의 체질이 그런 특성을 갖추고 있나가 문제겠죠.
경제가 선진적일수록 임금 주도 가능성이 높은 편이라는데
한국 등 몇몇 선진국이 그런 특성을 갖고 있다고 실증 연구
결과가 나와 있다고 하는군요.
임금이 기업의 비용 요소이므로 임금 인상으로 생산에 장애를
준다는 반론이 있을 수 있는데, 생활 수준이 올라가면 총생산이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다는 칼도어 이론이 이를 반박하죠.
임금 인상이 투자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생각은 보수적
경제학자들이 덧씌울 수 있는 프레임이에요. 도대체 이런
생각의 배경에 어떤 이론적 근거가 있는지 궁금하네요.
IMF 이후 한국 경제의 체질은 많이 달라졌어요. 임금이나
분배 부문의 개선이 투자나 수출과 하등의 상관 관계가 없다는
실증 연구 결과도 이미 나와 있다고 하고요.
결국 관건은 안정적 투자처를 찾지 못해 도무지 움직일 생각이
없는 기업의 사내 유보 자산을 산업 투자로 유인하는 일입니다.
신자유주의 논리가 지침하는 대로 규제를 철폐하고 역누진적
감세 방망이를 휘둘러 투자를 이끌어낼 수 있을까요.
보수 정부 잃어버린 9년의 결과를 보세요. 그리고 2008년
금융 위기를 계기로 많은 나라들이 다시 케인스 경제학으로
돌아가고 있는 이 유행같은 현상을 보시라고요.
기업에게 투자 심리를 자극할 건강한 유인을 제공하고
한편으로 가계 소비와 임금 소득의 형평성을 제고하여
총생산 증대의 튼튼한 발판을 마련하는 것…
그리고 그렇게 함으로써 9년이나 서버린 국가 경제 엔진을
다시 돌려 정상 궤도로 앉히는 것..
언론과 학자 집단이 공격하는 소득 주도 성장론의 실체는
바로 이런 것입니다.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
http://www.sisain.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29974
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797407.html
"공감을 눌러 주시면 큰 힘을 얻습니다"
교과서에 나오는 다양한 수요 곡선을 살펴 봅시다 (0) | 2018.07.30 |
---|---|
북한 경제의 투자 전망에 대한 홍콩 언론 보도 (0) | 2018.07.27 |
생디칼리즘과 정치 사상가 조르주 소렐 (0) | 2018.07.22 |
사회 자유주의와 현대 한국의 정치 사상 (0) | 2018.07.19 |
정치 이데올로기: 보수주의, 자유주의, 사회주의 (0) | 2018.07.15 |
Ha-Joon Chang: Why You Should Know Economics
경제학자에게 속지 않기 위해, 정치와 정책은 곧 삶에 직결하니까..
https://www.youtube.com/watch?v=3pIFVYRYjks
역사적 제도주의, 네오 맑시즘, 포스트 케인지언, 개발 경제학 등
여러 학파로 분류가 가능한 케임브리지 대학의 장하준 교수님은
노벨상에 가장 근접해 있다고 평가받는 한국의 경제학자입니다.
물론 근접해 있다고만 할 뿐 실제로 받을지는 모르겠어요.
장하준의 업적을 폄하하는 것이 아니라 주류 경제학자들이
이쪽 사이드의 비주류 흐름을 절대로 인정하지 않는 성향이 커서요.
장하준이나 토마 피케티가 받아야 한다면
70년대 말이나 80년대 초쯤 조앤 로빈슨도 이미 받았었겠죠.
(돌아가셨어요. 노벨상은 죽으면 안 줍니다.)
아, 물론 주류 경제학에 속하면서 수상 전망이 밝은
한국인도 얼마든지 계시죠. 미시의 조인구 교수님이라든가..
장하준 교수님이 몇 해 전 영국 왕립 예술 협회에서 강의한 서론 격인 모양인데
동영상 링크로 들어가면 재미있는 애니메이션으로 엮어 놓았습니다.
중간에 2014년에 출간한 ‘장하준의 경제학 강의’에 대한
간략한 소개도 나옵니다. 원제는 Economics: The User’s Guide였죠.
https://www.amazon.co.uk/Economics-Users-Guide-Pelican-Introduction/dp/0718197038
EU 디스하는 멘트가 나오는 것 보면 이 분의 좌파적 성향을
짐작할 수 있겠으나 다른 어떤 부분은 꽤 보수적이기도 하죠.
번역 자막은 동영상에 달려 있고
아래에는 연설 원문을 게재하니 많이 참고들 하세요.
I’ve tried my best to dispel this wide-spread perception that economics is too complicated for non-economists. Actually it sounds very strange because people have very strong opinions about everything. Iraq War, gay marriage, does God exist, global warming… You all have very strong views on these things, despite not having a degree in theology, not having a degree in energy economics, not having a degree in international relations.
But when it comes to economics, people say, oh yes, it’s for specialists, you know. I don’t know. But why? If you can have a very strong view on Iraq War or Afghanistan without a degree in international relations, you should have a strong view on government economic policy without a degree in economics.
I’d say that this is only because economists have been fantastically successful in making people believe that it is actually a lot more difficult than what it really is. So they will tell you, “Oh you know, I could explain it to you, but then you don’t understand.”
95 per cent of economics is common sense. Of course, it may look too difficult with the use of jargon and mathematics. And even the remaining 5 per cent can be understood at least, in its essence, if not in all technical details, thus if someone bothers to explain it to you in an accessible way.
For example, what is economics? I.e. the ethical foundations of economics, whether you can separate economics and politics, and how different ways of conceptualizing the economy affect the way we see the world, you know. For example, people think that today’s free market economics is a direct descendant of Adam Smith.
But this is not true. In Adam Smith and other so-called classical economists, the economy was conceptualized as being made of classes, not individuals. And the whole theory evolved around the way these different classes with different material interests behave and affect the way capital is accumulated, the economy grows, income is distributed, and so on.
Today in free market economics there are only individuals. When you’ve thought of ten people, oh, isn’t there a class? They say, no, that’s an old Marxists concept. If that’s the case, why do the marketing companies have all these class categories when they do marketing campaign strategy? They will look at groups, a, b, c… c1, c2, to target the advertising according to the type of people.
Now, many economists will tell you that economics is a science in which there is only one right theory. There are at least 9 different major schools of economics and several more if you count minor schools or split the major ones into sub-schools, each with its own unique strength and weaknesses.
And for free market economics alone, you have three different kinds; classical economics, neo-classical economics and Austrian economics. So actually there isn’t one right theory. And my contingent is that we need to all use that diverse approach to economics,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economy, because they all make certain assumptions, they all have different underlying political and ethical values, they have all sources of different theories about how the economy grows, and so on.
And to make this point, I’ll give you the Singapore problem, or what I call, that life is stranger than fiction. If you read only the financial newspapers like Wall Street Journal or Economist Magazine, it’ll be only told that Singapore succeeded because of its free trade policy and its welcoming attitudes towards foreign investors.
This is partly true. I mean, they did have those things. But you will never be told that Singapore Government owns nearly 90 per cent of all the land. 85 per cent of housing is provided by government-owned housing corporation. And a staggering 22 per cent of GDP is produced by state-owned enterprises.
So in talking of Singapore, I always tell my student, “Look, give me one economic theory. Doesn’t matter what it is, Neo-Classical, Marxist, Austrian, Schumpeterian. Give me one economic theory that can explain Singapore.” There isn’t. So you need to know these different theories to fully understand how a country like Singapore could succeed.
So in this regard my advice is that you should not be a man or a woman with a hammer by leaning only one kind of economic theory, because, whatever that theory is, once you believe that one theory is true, like the man with a hammer, you will start to see everything is a nail. So I’d say that you should get a Swiss knife.
In this dominant economic theory, i.e. up-to-date Neo-Classical theory, people are mainly conceptualized as consumers. And work is considered as, what these economists call, disutility that you have to put up with, so that you can earn money with which you consume goods and services and then derive pleasure or, what they call, utility. That’s your aim — deriving pleasure from consumption. But what happens in our workplace that fundamentally affects us, not just our immediate physic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ut also our identity, our sense of self-worth and our self-fulfillment?
This is why these days in many rich countries a lot of people are very unhappy compared to, say, a couple of decades ago, despite the fact that they have higher income. Why? Because work has become more stressful. But then economists tell you, “No, you should be happy. Britain today has twenty per cent higher income than, say, 1975. Why aren’t you happy?” My book is not just an explanation of economic theories and facts. It’s also a discussion about the role of economics in public life. And in this regard I have three sets of observations to make.
The first one is, “Never trust an economist,” and that includes me. You know, professional economists like to say, “ah, we know what is correct.” No, they don’t have the monopoly of the truth. I’ve already told you that there are 9 different kinds of economic theory. So the right conclusion depends on which economists you talk to.
And I argue that it is entirely possible for people who are not professional economists to have sound judgements on economic issues. I even argue that sometimes their judgements may even be better than those of professional economists, because they may be more rooted in reality and less narrowly focused.
And I argue that indeed the willingness on the part of ordinary citizens to challenge professional economists than other experts, is a foundation of democracy. If you really believe that all we have to do is to listen to the professional consensus of the experts, why do you need democracy? Yes, let self-elected elites appoint each other and run the world, you know. This is why a lot of people are unhappy with European Union.
The second point is the Latin phrase that is apparently written on the walls of the city hall of Gouda, the city in the Netherlands which is famous for cheese. I’m not even going to pretend to speak Latin, and so basically it says, “Listen even to the other side.”
And I argue that this is the attitude that you have to have in debating on the economic issues. I’m not suggesting that you should have no opinion of your own. What I’m trying to tell you is that, given the complexity of the world and given the necessarily partial nature of all economic theories, you should be humble about the validity of your own favorite theory and should keep an open mind about it.
Finally, even while I constantly make reform proposals, I emphasize, “How difficult it is to change the economic reality.” Sometimes the reason is obvious. People who benefit from the status quo want to throw the change by any means, lobbying, bribery, media propaganda and even violence.
The status quo often gets defended even without some people actively being evil. Because the thing about market system is that the rule is one dollar : one vote. So this means that the ability of those with less money to refuse undesirable options given to them is highly constrained.
Also we can be susceptible to beliefs that are against our own interests. The best example is what happened when Barack Obama tried to reform the American medical insurance system. There were all these pictures of all pensioners demonstrating against what they call Obamacare with placards saying things like, “Government, hands off my Medicare.”
Well, except that Medicare is the government programme. This is what the Marxists used to call ‘false consciousness,’ or also known as, the Matrix the movie.
But acknowledging that the difficulty is involved in changing the economic status quo, should not make us give up the fight to create a better economy and better society. Yes, changes are difficult, but in the long run, if enough people fight for something hard enough, many impossible things can happen.
Don’t forget, 200 years ago, if you suggest America should abolish slavery, you’d be branded at least unrealistic and probably the luny. 100 years ago the British Government put women in prison for asking for vote. A lot of women actually said, “Why do we need vote? We have our husbands and brothers to represent our views.
Well, this is why I quote Antonio Gramsci, the Italian Marxist, who once said that we need to have pessimism of the intellect but optimism of the will. Yes, you have to accept difficulties of changing the status quo, but you have to believe that this can be done. And, finally, as Nelson Mandela used to say, it always seems impossible until it is done.
에드워드 코크: 니들이 사법부 독립을 알긴 아느냐 (0) | 2018.06.07 |
---|---|
CNN 특종: 존 볼턴이 북미 회담을 방해했다 (1) | 2018.06.06 |
롱다리 에드워드 : 잉글랜드 국왕 에드워드 1세 (0) | 2018.05.31 |
사이먼 쿠즈네츠와 국민 소득 (0) | 2018.05.28 |
불황과 공황을 접한 경제학자들의 자세 (0) | 2018.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