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수요총공급모형'에 해당되는 글 1건
- 2018.07.25
Wage-Led Growth: Theoretical Bases
소득 주도 성장론에 한계가 왔다고요.
정말 그러한가 따져 볼까요.
이론적인 배경 몇 가지 먼저…
성장론이란 것이 기본적으로는 케인스가 시작한
수요 주도 성장 이론, 즉 유효 수요 창출 가정에서
출발하였음을 인식했으면 해요.
거시 경제학 강의에서 초반에 배우는
AD-AS 모델, 총수요-총공급 모형을 떠올려
보면 편할 것 같은데요.
케인스는 수요 증가가 공급을 늘릴 수 있다, 즉 총수요가
총공급을 이끈다는 생각을 펼쳤으며 이는 수요가 공급을
따라간다는 신고전파와 정반대 지점에 있었어요.
따라서 유효 수요를 창출하는 것이 대공황으로 허덕이던
미국 경제를 구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주장한 것…
다들 기억하실 거에요.
케인스의 이 생각은 (테네시 댐 말고) 2차 대전 발발로
전쟁 물자가 급격하게 증가하며 입증된 역사가 있는데요.
그렇다고 해서 케인지언들의 일반적인 아이디어가
반드시 옳은 항구적 진리임이 증명되었다고 오해하긴
아직 일러요. 아직 많은 경제학자들의 생각이 그래요.
케인스 이후에 영국의 칼도어, 폴란드의 칼레츠키,
네덜란드의 페어도른 같은 학자들이 계승하였고요.
최근 성장론의 연구 학파는 뚜렷하게 둘로 나뉘어요.
이윤 주도 성장론과 임금 주도 성장론입니다.
양자는 케인지언의 분파로 볼 수 있겠네요.
https://urpe.wordpress.com/2016/04/13/a-very-short-explanation-of-profit-versus-wage-led-growth/
이윤 주도 성장의 이론은 놀랍지만 조앤 로빈슨에게서
나왔어요. 산업 조직론의 윤리를 탐구했던 분이니 그럴 수도
있겠네요. 이윤률이 투자를 진작한다고 했고 오랜 통설이었죠.
소득 주도 성장론의 법칙은 처음 니콜러스 칼도어가
제시한 바 있어요. 주로 이미 산업화한 국가 경제에서 공업
부문 성장률이 총생산과 생산성을 진작한다는 이론이었죠.
https://en.wikipedia.org/wiki/Kaldor%27s_growth_laws
이 분들까지는 그래도 돌아가셨고 구시대의 경제학이니 뭐니
할 수 있겠는데, 한창 활동하고 있는 현존 경제학자들 중에
이런 실증 연구를 감행한 분들이 있어요.
그리니치 대학의 Özlem Onaran 교수나 킹스턴
대학의 Engelbert Stockhammer 교수, 오타와 대학의
Marc Lavoie 교수 같은 분들이 그들이에요.
UN 산하에 국제 노동 기구, ILO가 있는데 여기서 위촉한
연구가 이런 분들의 보고서로 지난 2013년에 나온 바 있죠.
국내 언론에서 언급한 ILO 보고서가 바로 이거에요. 첨부..!
임금이 올라 총수요를 끌어 올릴 수 있는가.
경제 자체의 체질이 그런 특성을 갖추고 있나가 문제겠죠.
경제가 선진적일수록 임금 주도 가능성이 높은 편이라는데
한국 등 몇몇 선진국이 그런 특성을 갖고 있다고 실증 연구
결과가 나와 있다고 하는군요.
임금이 기업의 비용 요소이므로 임금 인상으로 생산에 장애를
준다는 반론이 있을 수 있는데, 생활 수준이 올라가면 총생산이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다는 칼도어 이론이 이를 반박하죠.
임금 인상이 투자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생각은 보수적
경제학자들이 덧씌울 수 있는 프레임이에요. 도대체 이런
생각의 배경에 어떤 이론적 근거가 있는지 궁금하네요.
IMF 이후 한국 경제의 체질은 많이 달라졌어요. 임금이나
분배 부문의 개선이 투자나 수출과 하등의 상관 관계가 없다는
실증 연구 결과도 이미 나와 있다고 하고요.
결국 관건은 안정적 투자처를 찾지 못해 도무지 움직일 생각이
없는 기업의 사내 유보 자산을 산업 투자로 유인하는 일입니다.
신자유주의 논리가 지침하는 대로 규제를 철폐하고 역누진적
감세 방망이를 휘둘러 투자를 이끌어낼 수 있을까요.
보수 정부 잃어버린 9년의 결과를 보세요. 그리고 2008년
금융 위기를 계기로 많은 나라들이 다시 케인스 경제학으로
돌아가고 있는 이 유행같은 현상을 보시라고요.
기업에게 투자 심리를 자극할 건강한 유인을 제공하고
한편으로 가계 소비와 임금 소득의 형평성을 제고하여
총생산 증대의 튼튼한 발판을 마련하는 것…
그리고 그렇게 함으로써 9년이나 서버린 국가 경제 엔진을
다시 돌려 정상 궤도로 앉히는 것..
언론과 학자 집단이 공격하는 소득 주도 성장론의 실체는
바로 이런 것입니다.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
http://www.sisain.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29974
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797407.html
"공감을 눌러 주시면 큰 힘을 얻습니다"
교과서에 나오는 다양한 수요 곡선을 살펴 봅시다 (0) | 2018.07.30 |
---|---|
북한 경제의 투자 전망에 대한 홍콩 언론 보도 (0) | 2018.07.27 |
생디칼리즘과 정치 사상가 조르주 소렐 (0) | 2018.07.22 |
사회 자유주의와 현대 한국의 정치 사상 (0) | 2018.07.19 |
정치 이데올로기: 보수주의, 자유주의, 사회주의 (0) | 2018.07.15 |